부동산

계약갱신을 앞둔 임대인, 전세 재계약 5% 올려받는 방법 (feat.전세시세 파악 템플릿 제공)

동글머니 2025. 1. 18. 12:0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동글머니입니다.

 

23년 4월에 전세를 준 집,

어느덧 2년이 지나서 계약갱신 여부를 검토할 때가 왔어요!

 

재계약을 앞둔 3개월 전!

어떤 방법으로 재계약을 대비해야할지 단계별 접근 방법을 정리해봤어요.

 

하나씩 차근 차근, 겁먹지 않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D

 

STEP1. 기존 보증금 5% 증액 금액과 KB 시세 대조

 

KB 시세 대조를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KB시세의 90%까지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인데요!

 

KB 매매 시세의 상승과 하락에 따라 영향을 받기에 전세를 새로 세팅할 때 간과할 수 있습니다.

 

기존 전세 보증금이 1억이라고 가정해볼게요 :)

그럼 5% 증액시 500만원을 올려받을 수 있을텐데요!

전세가가 1억 500만원이면, 전세 보증보험 가입이 될까요?

전세 보증 보험 가입의 요건은 KB시세의 90%입니다.

 

가령 KB시세가 1억 600일 때, 해당 금액의 90%는 1억 440만원이므로,

1억 500에 전세를 놓고 싶어도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안되므로, 세입자가 불편해할 수 있습니다 'ㅅ'

 

STEP2. 상급지, 동급지, 하급지 전세 갯수 및 금액 등 파악

 

동네 급간을 나눠서 파악하는 이유는 일시적인 과공급으로 인하여 전세가 많이 나올 때

전세가의 위계가 사라지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세입자(임차인)들이 고려할 수 있는 다른 전세 상품 옵션을 파악하기 위함이 첫번째 목적입니다.

 

그리고 다음번 투자 때 더 나은 투자를 하기위한 인사이트를 축적하는 목적도 있습니다.

다음번 돌아올 계약 시에도 참조하고요!

전세 물건 트래킹용 템플릿.xlsx
0.01MB

 

 

네이버 부동산에 업로드된 가격 뿐만 아니라

직전에 전세가가 얼마에 거래되었는지,

다른 동네와 경쟁 물건들의 거래 동향은 어떤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어떤가요? 내가 임차인이더라도, 우리집에 지속 거주를 하고 싶을까요?

표로보면 가격 경쟁력과 거주 편의성에 대한 경쟁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 기존 임차인이 퇴거를 하더라도, 다음 임차인에게 전세를 줄 때,

전세 가격을 얼마에 세팅할지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참, 2년 전 최초 계약시의 전세가격과 각각의 상승분을 살펴보면?

비슷한 금액을 들여 투자를 했더라도 전세 수요가 더 많아서 운용이 더 수월한 단지를 파악해볼 수도 있겠지요.

 

매매 수요가 아닌 실거주 수요를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STEP3. 전세 재계약 의사 파악

세입자에게 더 거주할 의향 확인을 하면 되겠습니다.
5% 증액 동의 여부 확인하고요.


A. 갱신 희망 시: 셀프 전세 계약으로 유도하기
B. 갱신 하지 않을 시: 신규 세입자 받을 준비 시작
C. 거주 희망하지만, 증액 거부시: ????

(사실 이 케이스는 어떻게 해야하는지는 모르겠지만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기도한지라, 퇴거 거부 시의 대응 방법을 별도로 준비해보려고요)

 

계약갱신권 관련한 FAQ가 모여있는 사이트 참조하세요 :)

 

https://www.molit.go.kr/policy/rent/rent_c_01.jsp

STEP4. 전세 셀프 계약 프로세스

요건 지폴릭님이 너무 잘 소개해주셔서,

한 번 참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D

 

https://zipholic.com/entry/%EC%A0%84%EC%84%B8%EA%B3%84%EC%95%BD-%EC%85%80%ED%94%84-%EB%8F%84%EC%9E%A5-%EC%9C%84%EC%B9%98-%EB%B0%8F-%EA%B0%84%EC%9D%B8-%EB%B0%A9%EB%B2%95-%EA%B3%84%EC%95%BD%EC%84%9C-%EC%96%91%EC%8B%9D-%EC%B2%A8%EB%B6%80

 

전세계약 셀프 도장 위치 및 간인 방법, 계약서 양식 첨부

부동산을 끼지 않고 전세계약을 셀프로 할 경우, 부동산 수수료를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전세금이 3억이라고 한다면 수수료가 부가세 포함해서 99만 원으로 거의 백만 원이다.셀프계

zipholic.com

 

 

자, 이렇게 하면 전세 재계약을 위한 프로세스 단계의 숙지는 끝났고.

이제는 절차대로 하나씩 실천하면 되겠어요 ^0^

 

모두 전세 재계약 잘 준비하시길 바라겠습니다.

5% 상승분을 잘 챙겨서, 시스템 투자를 완성하는 날까지 화이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