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도서

[부동산] 부동산 투자의 정석 서평 (Review)

by 동글머니 2021. 3. 31.
728x90
반응형

0.총평

부동산 시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매물에 대한 접근법을 다룬다.

총론 부분은 대동소이하지만, 각론과 사례들이 와닿으며 각 물건 유형별로 임장을 다닐 때 기본 지침으로 활용하기 좋다.

기준 좌표 정립 ★☆ 어떤 기준으로 부동산 매물을 바라볼지 기준을 세워준다

가이드력 ★☆ 임장 나가기 전, 책을 가이드 삼아서 머릿 속에 기본적인 것들을 입력하자 

 

구매일 2021.02.12

완독일 2021.02.13

정리일 2021.03.31

 

1. 내 마음 속 밑줄

 

 

주택이 남아도는 상황에도 오르는 부동산은 있다 중

싱가포르는 국민의 80% 임대주택에 살고 있다. 거래되는 주택은 20%뿐. 하지만 20%에 해당하는 민간 주택은 매년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으며 상당히 높은 상승률을 유지해왔다.

 

밑줄 그은 이유? 공공임대 주택이 늘어날 수록 민간주택의 자산으로서의 가치는 올라간다는 점을 다른 국가 사례에서 알 수 있었다

 

전세 레버리지 투자에 대한 여덟 가지 의문들 중

전세가가 떨어지면 어떡하나? 1997년~2016년 전세가 하락한 적은 딱 한번. IMF 직후

 

밑줄 그은 이유? 사실 전세와 매매가가 차이가 적은 매물을 거래할 때 가장 불안한 이유다. 전세가 하락이 생기면 어떻게 하냐는 것인데, 역사적으로 딱 한 번 밖에 없었다는 사실이 놀랍다. 블랙스완이 등장하지 않는한, 전세가의 하방은 탄탄한 것이다.

 

투자는 진화하고 발전해야 한다 중

하나, 전세 보증금 상승분으로 수익형 부동산을 매입한다. 둘, 기존 주택을 월세 방식으로 전환한다. 셋, 일부 부동산으로 차익을 실현한다. 넷, 상승률 높은 대상에 투자한다. 다섯, 배당주를 산다. 결론: 4년만 투자하라, 4년만 인내하며 투자하면 당신의 인생이 달라진다.

 

밑줄 그은 이유? 1호 매물 매매 이후의 갈림길에서 저런 엑시트 플랜이 존재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다소 멀게 느껴지지만 길이 있는 것을 아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큰 차이가 난다.

 

펀치라인!

투자자에게도 급이 있다. 적은 액수 종잣돈을 가지고 더 높은 수익을 얻는다!!!! 이 단계에 이르도록 공부하는 게 돈을 모으는 것보다 더 빠르다.

 

얼마 전 K문고 부동산 코너에서 한 분이 저런 요지로 말을 하는 것을 들었다. 본인은 2년 동안 공부를 한 후 매수를 하셨다는 말을 동행자에게 하고 있었는데, 정확히 저 문장의 핵심을 꿰뚫고 있었다. 초기자본이 부족하다고, 부동산 가격이 이미 너무 올랐다고 좌절할 틈이 없다. (쉴틈이 없어용) 적은 종잣돈으로 더 높은 수익을 얻는 방법들을 알아나가는 것. 지속적인 공부에 동기부여가 되는 문장이었다.

 

2. 나에게 미친 영향

 

  • 5장 대상 별 투자의 정석 파트는 정말 유용했다. 지난 2월 한달동안 30건이 넘는 매물을 임장했는데, 다른 타입의 매물을 검토할 때 든든한 기초처럼 참고를 할 수 있었다. 아래는 5장의 목차 내역이다. 각 목차별로 물건을 살필 때 정석 5가지, 팁 두세가지를 실은 챕터이며, 본인이 관심이 있는 파트만 발췌독 할 수 있다.

01. 아파트 투자의 정석

02. 재건축 투자의 정석

03. 분양권 투자의 정석

04. 오피스텔 투자의 정석

05. 단독주택 투자의 정석

06. 상가주택 투자의 정석

07. 상가 투자의 정석

 

  • 특히 가로주택 매물이나 도심지 오피스텔 매물, 빌라, 재건축처럼 전형적으로 선호되는 신축 아파트 매물과는 다른 타입의 부동산을 대할 때 쏠쏠한 기준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수익형 부동산 파트는 실거주를 마련한 후에 지향점으로 남겨두기로 하고 가볍게 통독했다.

 

3. 이 책의 추천 대상

  • 부동산 매매를 할 예정이 있지만, 아직 물건의 타입을 정하지 못한 사람
  • 아직 초기 여유 자금은 없지만, 임장을 다니며 보는 눈을 높이고 싶고, 그 기준을 마련하고 싶은 사람
  • 전세가와 매매가 차이가 없는 매물을 통해 수익을 얻고 싶은 사람

 

 

728x90
반응형

댓글